r246 vs r247
......
655655강도가 음수일 경우: 하늘빛의 효과가 레이어된다. [* 세피아는 음수로 쓰는 게 맞단 의견이 있을 만큼 효과가 좋다.]
656656}}} ||
657657|| 색상 반전 || 색상을 반전시킨다.[* #ff0000 → #00ffff, #787878 → #878787, #debb7b → #325585 등][*강도조정불가 강도 조정이 불가능하다.] ||
658|| 비디오 || ||
659|| 80년대 TV || ||
660|| 50년대 TV || ||
661|| 아케이드 || ||
658|| 비디오 || ||
659|| 80년대 TV || [*강도조정불가] ||
660|| 50년대 TV || [*강도조정불가] ||
661|| 아케이드 || [*강도조정불가] ||
662662|| LED || ||
663663|| 비 || ||
664664|| 눈폭풍 || ||
665665|| 픽셀 눈 || ||
666666|| 압축 || ||
667|| 글리치 || ||
667|| 글리치 || [*강도조정불가] ||
668668|| 픽셀화 || ||
669669|| 물결 || ||
670670|| 잡음 || ||
671671|| 필름 그레인 || ||
672672|| 모션 블러 || ||
673673|| 어안 렌즈 || ||
674|| 색수차 || ||
674|| 색수차 || 프리즘 효과를 낸다. 50이 기본값이며 보다 낮을 경우엔 빨간색이 왼쪽으로 보다 높을 경우엔 빨간색이 오른쪽으로 간다.
675{{{#!folding 외의 작동 [ 펼치기 · 접기 ]
676강도의 절댓값이 과하게 높을 경우: 나머지 색들이 화면 밖으 초록색만 남게 된다.
677}}} ||
675678|| 드로잉 || ||
676|| 네온 || ||
677|| 8비트 휴대기기 || ||
678|| 야시경 || ||
679|| 네온 || [*강도조정불가] ||
680|| 8비트 휴대기기 || [*강도조정불가] ||
681|| 야시경 || [*강도조정불가] ||
679682|| 펑크 || ||
680683|| 터널 || ||
681|| 이상한 3D || ||
684|| 이상한 3D || [*강도조정불가] ||
682685|| 흐림 || ||
683686|| 흐림 (강조) || ||
684687|| 가우시안 블러 || ||
......
695698|| 점묘화 || ||
696699|| 빗방울 || ||
697700|| 수면 || ||
698|| 흩날리는 꽃잎 || ||
699|| 흩날리는 꽃잎 (즉시) || ||
701|| 흩날리는 꽃잎 || 필터 이름대로 분홍색과 하얀색이 섞인 흩날리는 꽃잎이 좌측 상단에서 부터 서서히 나오기 시작한다. [*강도조정불가] ||
702|| 흩날리는 꽃잎 (즉시) || 위와 같은 효과를 내지만 좌측 상단부터 서서히 나오기 시작하는 것이 아닌 이미 진행된 상태의 효과가 난다. [*강도조정불가] ||
700703==== 고급 필터 설정 ====
701704||<table align=left><table width=300><-2><table bordercolor=#debb7b><colbgcolor=#000><colcolor=#fff> '''{{{+2 고급 필터 설정}}}''' ||
702705||<-2> [[파일:Editor Visual SetFilterAdvanced.png|width=100%]] ||
......